나형민 Na H.M 1 페이지

���� �ٷΰ���


Na HyoungMin


누구에게나 죽음이란 두려운 대상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죽음을 회피하고 영생불사, 불로장생 또는 죽음 이후의 부활의 삶을 추구한다. 그러나 어떤 인간도 존재도 영생할 수 없으며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그래서 한 줌의 흙으로 이루어진 능()이란 삶의 한계이면서도 생과 사의 경계이다. 남양주에는 왕릉임에도 불구하고 소소한 광릉, 유릉, 홍유릉 등 여러 능묘(陵墓)를 볼 수 있다. 이 왕릉에는 전통적인 수종으로서의 큰 소나무가 가득하여 인위적이지 않은 경건함을 풍긴다. 사철 푸르름을 머금고 있는 소나무는 절개의 상징이자 본인 작품의 제재로서 자주 활용되기에 왕릉은 때때로 방문하는 좋은 소재처이다. 특히 남양주 진건읍 사능리에는 소재로서의 겨울 노송(老松)의 이미지를 다수 채집할 수 있었던 정순왕후(定順王后) 송 씨의 사릉(思陵)이 있다. 그녀는 단종의 왕비로 책봉되었다가 강등 된 후, 다시금 숙종 때(1698) 정순왕후로 복위된 파란만장한 삶을 산 여인이다. 왕후에서 노비로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다시금 복권되어 왕후로 되살아난 역사적 터전을 이번 작품의 주된 소재이자 재생의 함의를 담은 요소로 활용하였다. 재생(再生)이란 보통죽음 이후에 다시 태어난다(rebirth)’는 되살아남의 뜻으로 부활의 의미가 담겨있다. 사릉의 정순왕후의 육신은 비록 물리적으로 죽음을 맞이했지만, 사후 다시금 단종 복위와 더불어 재생의 지평으로 부활하였듯이 재생이란의미 또는 가치의 되찾음, 되돌아감으로서 복귀의 뜻이 담겨있다.


그리고 재생에는 마치 보름달이 가득 찼다가 사라지고 이내 다시 채워지듯이 순환의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삶과 죽음, 내세와 외세의 이원론적인 세계관에서는 죽음이란 삶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삶 또는 다른 세계로의 전환이라고 사유하였다. 따라서 능()이란 삶의 끝이 아니라 이(this) 세계에서 저(that) 세계로 또는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으로의 통로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언덕 앞 정자각(丁字閣)의 문은 두 세계의 사이에서 항상 열려 있다.

작품 지평에 자주 등장하는 불꽃으로서의 쥐불, 들불도 태움이라는 소멸을 통해 다시금 소생한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대보름날의 쥐불놀이는 논두렁이나 밭두렁을 태워 외적 나쁜 것으로서의 들쥐, 해충, 잡초 등과 내적 나쁜 것으로서의 액운을 소멸시키고, 그 재가 거름이 되어 새로운 생명과 운명이 시작되듯이 재생의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재생이란 소멸과 생성, 탄생과 죽음의 순환적 역사의 정점으로서의 문(), 통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평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불꽃, , 보름달 등등의 주된 작품제재는 소멸과 파괴의 외적 이미지를 넘어 생명을 잉태하는 쥐불놀이와 같이 소멸을 통한 정화와 그로 인한 다시 태어남(再生)의 함의가 있다.


나형민